CSW-3060
제품의 사양 및 제원


Standard Specifications(표준사양)
권상하중 | 작업속도 (m/min) | 중량(kg) | 작업거리 | |
---|---|---|---|---|
한줄사용 | 300kg | 6.0(무부하) / 3.75(최대부하) | 3.5kg | ∞ |
두줄사용 | 600kg | 3.0(무부하) / 1.85(최대부하) | 5.95kg | ∞ |
|
||||
선택사양 | 전기식 핸드드릴 | 220V / 단상, 550W, 3000rpm(Max), 정역기능 | ||
충전식 핸드드릴 | 3/8" (10mm), 12/9.6VDC, 최대토크 : 230in./lb.이상, 정역기능 | |||
AC모터 | 220V / 단상, 1500W, HZ60/50, 5200rpm(Max), 정역기능 |
참고
- 느린 작업속도가 필요하거나 전기가 없는 장소에서의 작업시에는 충전식 핸드드릴을 사용하여 주시고 빠른 작업 속도가 필요하거나 높은 곳에서의 작업시에는 AC모터를 장착하여 사용하시면 더욱 효율적입니다.
- AC 모터는 탈·부착이 용이합니다.
- 본 제품은 전기식 핸드드릴, 충전식 핸드드릴, Ac모터 등 모든 종류의 동력 사용이 가능합니다.
주의
- 우천시, 눈이 올때, 바람이 불때, 어두울 때는 안전상 실내에서만 사용하여 주십시오.
- 고가(2,000만원 이상)의 장비를 운반하는 행위는 금합니다.
- 사람이 타는 행위를 절대 금합니다.
- 핸드드릴 사용시 150kg 이상은 금합니다.
부품명칭



와이어-훅크 조립 순서
-
1
IN-LET LOCK PIN을 뺀다.
분할핀을 빼낸 후 IN-LET LOCK PIN의 고리를 잡고 당겨낸다. -
2
PRESS ROLLER CASING LOCK PIN 2개를 뺀다.
분할핀을 빼낸 뒤 PRESS ROLLER CASING LOCK PIN의 고리를 잡고 당겨낸다. -
3
훅크를 뺀다.(1줄 사용시)
너트 풀림방지 핀을 뺀 뒤 너트를 풀고 육각볼트를 빼낸다. -
3-1
훅크를 뺀다.(2줄 사용시)
너트 풀림방지 핀을 뺀 뒤 너트를 풀고 육각볼트를 빼낸다. -
4
와이어로프를 풀리홈에 삽입한다.
- 이때 와이어-훅크를 삽입하는 방향은 IN-LET LOCK PIN 쪽에서 PRESS ROLLER CASING 방향으로 삽입하여야 합니다.
- 와이어-훅크는 사용코자하는 작업 길이만큼 여유를 가진 위치에 두고 와이어로프를 풀리홈에 삽입하십시오.
-
5
PRESS ROLLER CASING으로 와이어 로프를 누른다.
PRESS ROLLER CASING을 프레임에서 90° 정도 올린뒤 OUT-LET ROLLER와 프레임 사이의 홈으로 와이어 로프를 삽입한 뒤 와이어로프를 END STOPPER방향으로 당겨서 와이어 로프를 풀리홈에 완전히 밀착시킨 후 PRESS ROLLER CASING을 프레임 방향으로 밀어넣어 와이어 로프를 누른다.- 이때 PRESS ROLLER가 와이어 로프를 정상적으로 누르는지 확인하여 주십시오.
(고정 위치는 2개의 PRESS ROLLER CASING LOCK PIN 구멍 사이에 오도록 한다.)
- 이때 PRESS ROLLER가 와이어 로프를 정상적으로 누르는지 확인하여 주십시오.
-
6
PRESS ROLLER CASING LOCK PIN을 끼운다.
프레임과 PRESS ROLLER CASING LOCK PIN 구멍이 일치되면 LOCK PIN을 감속기측 프레임 방향에서 밀어넣은 뒤 분할핀을 끼우십시오. -
7
IN-LET LOCK PIN을 끼운다.
IN-LET LOCK PIN은 감속기측 프레임 방향에서 밀어 넣은 뒤 분할핀을 끼우십시오.8훅크를 끼운다.(1줄 사용시)
육각 볼트를 끼운 뒤 너트를 잠그고 풀림 방지판을 끼운다.
1줄 사용시 와이어 - 훅크 조립완료 -
8-1
2 LINE 훅크 커버를 끼운다.(2줄 사용시)
-
9
핀을 뽑고 와이어 로프 소켓에서 훅크를 분리 한다.
와이어-훅크 말단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 소켓에 훅크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 풀림방지 핀을 뺀 뒤 볼트, 너트를 빼낸다. -
10
시브에 와이어 로프를 삽입한 뒤 훅크를 조립한다.
와이어로프를 서버커버 사이에 삽입한 뒤 와이어 로프 소켓에서 분리한 훅크를 조립한다.
조립시 와이어 로프가 시브의 사운데 홈에 닿게 한 후 훅크를 조립하십시오.
너트를 잠근 뒤 풀림 방지핀을 끼우십시오. -
11
와이어 로프 소켓을 2줄용 회전고리에 조립한다.
2줄 사용시 와이어 - 훅크 조립완료
와이어-훅크의 활용예
300kg 풀리-맨 고정방식 Pulley-Men setting type |
300kg 와이어 훅 고정방식 Wire hook setting type |
||
---|---|---|---|
![]() |
|
![]() |
|
600kg 풀리-맨 고정방식 Pulley-Men setting type |
이동식 크레인 Movable type crane |
||
![]() |
|
![]() |
아래의 사용 방식은 360° 어떠한 위치에서도 작업 가능합니다.
사용 와이어수 Used Wire Number |
한줄사용 1-Wire |
두줄사용 2-Wire |
|
---|---|---|---|
경사별 최대하중 Max Weights by Tilts |
6° | 1,500kg (3,300lbs) | 3,000kg (6,600lbs) |
12° | 975kg (2,150lbs) | 1,950kg (4,300lbs) | |
16° | 8250kg (1,825lbs) | 1,650kg (3,640lbs) | |
27° | 585kg (1,290lbs) | 1,170kg (2,850lbs) | |
35° | 450kg (990lbs) | 900kg (1,980lbs) |
평면상에서 구름바퀴를 가진 물체를 당길때 경사별 최대하중(kg)

풀리-맨 고정방식 Fiexd PULLEY-MAN |
와이어 훅크 고정방식 Fiexd Wire hook |
풀리-맨 하부 고정방식 Fiexd PULLEY-MAN on the bottom |
---|---|---|
![]() |
![]() |
![]() |
풀리-맨을 I-BEAM, 환봉, 기타 안전한 상단부 구조물에 고정시킨 다음 와이어-훅크에 하중물을 걸어서 상하로 이동하는 방법 | 와이어-훅크를 I-BEAM, 환봉, 기타 안전한 상단부 구조물에 고정시킨 다음 풀리-맨에 하중물을 걸어서 상하로 이동하는 방법 | 풀리-맨을 작업이 용이한 하부의 안전한 구조물에 고정 시킨 다음 I-BEAM, 환봉, 기타 안전한 상단부 구조물에 고정시킨 도르레를 통과시킨 와이어-훅크에 하중물을 걸어서 상하로 이동하는 방법 |
와이어 로프 고정, 풀리-맨 이동방식 Wire rope fix, PULLEY-MAN transfer method |
풀리-맨 고정, 와이어 로프 이동방식 PULLEY-MAN fix, wire rope transfer method |
한줄 사용 1-wire used |
![]() |
![]() |
![]() |
와이어 로프 양쪽 끝을 안전한 구조물에 수평, 혹은 경사로 고정시킨 다음 풀리-맨 본체의 훅크를 빼낸뒤 풀리-맨의 프레임 사이로 와이어 로프를 삽입한 상태에서 훅크를 조립한다. 하중물을 훅크에 걸어서 수평, 경사로 물류를 이동하는 방식 와이어 로프가 프레스 롤러를 통과하지 않음 |
풀리-맨을 안전한 구조물에 고정시킨 다음 필요에 따라 1공 이상의 구조물에 도르레를 고정시킨 다음 와이어를 통과시킨 후 와이어 양끝을 팽팽하게 당겨서 체결한다. 원하는 위치에 운반용 파렛트 혹은 훅크를 와이어와 고정한다. 파렛트나 훅크에 하중물을 실어서 수평으로 물류를 이동하는 방식. 와이어 로프가 프레스 롤러를 통과하지 않음 |
|
두줄 사용 2-wire used |
크레인말단 와이어 훅크 고정방식 Fixed wire hook at crane end |
크레인말단 풀리-맨 고정방식 Fixed PULLEY-MAN at crane end |
![]() |
![]() |
![]() |